AI와 과학기술의 융합 시대 개막: 과기정통부, 혁신적인 'AI+S&T 활성화 방안' 발표
2025-03-12

IT 조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인공지능(AI)을 과학기술 전반에 접목하여 연구개발(R&D) 혁신을 가속화하는 'AI+S&T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된 이번 방안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AI, 과학기술의 새로운 동력으로
그동안 과학기술 발전은 실험, 관찰, 분석 등 인간의 노력에 크게 의존해 왔습니다. 하지만 AI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어 데이터 분석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고, 복잡한 현상을 예측하며, 새로운 물질과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는 강력한 도구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AI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과학기술 R&D의 효율성과 혁신성을 극대화하고자 합니다.
'AI+S&T 활성화 방안'의 주요 내용
- AI 기반 연구개발 플랫폼 구축: 데이터 공유 및 분석, 연구 협업을 위한 AI 기반 플랫폼을 구축하여 연구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 AI 융합 연구 과제 확대: 기존 연구 과제에 AI 기술을 접목하고, AI 융합 신규 연구 과제를 적극 발굴하여 지원합니다.
- AI 전문 인력 양성: AI와 과학기술 분야의 융합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산학연 협력을 통해 실무형 인재를 육성합니다.
- AI 기술 활용 규제 완화: AI 기술 활용을 저해하는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하고, 안전하고 책임감 있는 AI 기술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합니다.
- 국제 협력 강화: AI 및 과학기술 분야의 국제 협력을 강화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공동 연구 및 기술 교류를 활성화합니다.
기대 효과 및 전망
이번 'AI+S&T 활성화 방안'은 과학기술 R&D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대한민국 과학기술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신약 개발, 첨단 소재 개발, 에너지 효율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의 활용이 기대되며, 이는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과 일자리 확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과학기술 혁신을 이끌고,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과학기술 강국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