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000만원의 손실에도 불구하고… 빠른 벌채와 조림, 과연 정답인가? 숲 조성 정책의 지속 가능한 대안은?

2025-08-16
1000만원의 손실에도 불구하고… 빠른 벌채와 조림, 과연 정답인가? 숲 조성 정책의 지속 가능한 대안은?
SBS 뉴스

올해 역시 전국 곳곳에서 산불과 산사태의 피해가 잇따르면서, 훼손된 숲을 복구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하지만 지난 50년간 이어져 온 한국 정부의 숲 조성 정책이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도한 벌채와 획일적인 조림 방식이 오히려 숲 생태계를 파괴하고, 장기적으로는 경제적 손실까지 초래한다는 지적입니다.

실제로 숲 조성에 투입되는 막대한 예산(연간 1000억 원 이상)에도 불구하고, 조성된 숲은 제대로 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기간에 목재를 생산하기 위해 빠르게 나무를 심고 벌채하는 방식은 숲의 다양성을 해치고, 토양 침식, 산림 병충해 확산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합니다. 또한, 특정 수종만을 대규모로 심는 획일적인 조림 방식은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떨어뜨립니다.

문제는 무엇이며, 지속 가능한 대안은 없는가? 기후환경전문기자 장세만이 이틀에 걸쳐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국내 숲 조성 정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미래 숲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합니다.

첫째, 숲 조성의 목표를 재정립해야 합니다. 단순히 목재 생산이나 경관 개선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 보전, 탄소 흡수, 국민 휴식 공간 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숲의 가치를 경제적 가치 외에 생태적, 사회적 가치로 확장해야 합니다.

둘째, 숲 조성 방식을 다변화해야 합니다. 특정 수종만을 대규모로 심는 획일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수종을 혼합하여 심고, 자연적인 숲의 복원을 유도해야 합니다. 또한, 지역의 특성과 생태계를 고려한 맞춤형 숲 조성 방식을 적용해야 합니다.

셋째, 숲 관리를 강화해야 합니다. 조성된 숲이 지속적으로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를 실시해야 합니다. 특히, 산림 병충해 예방 및 방제에 힘쓰고, 산불 예방 활동을 강화해야 합니다.

넷째, 시민 참여를 확대해야 합니다. 숲 조성 및 관리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숲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숲 관리를 위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야 합니다.

숲은 우리 삶의 터전이자 미래 세대를 위한 소중한 유산입니다. 지속 가능한 숲을 만들기 위해 정부, 기업, 시민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할 때입니다. 장세만 기자의 심층 보도를 통해 숲 조성 정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미래 숲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봅시다.

ADVERTISEMENT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