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주도권 확보! 'AI 국가대표' 5개 기업 선정…네이버, LG, SKT, NC, 업스테이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위한 최종 평가 결과를 발표하며, 대한민국 AI 주도권 확보의 핵심인 'AI 국가대표' 5개 기업을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기업은 네이버, LG, SK텔레콤, NC, 업스테이지로, 이들은 모두 세계적인 수준의 AI 모델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버린 AI' 시대를 이끌어갈 핵심 주체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AI 국가대표' 선정 배경 및 목표
최근 미국 OpenAI의 GPT 모델과 같은 거대 AI 모델이 글로벌 AI 시장을 장악하면서, AI 기술 격차 심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대한민국의 AI 경쟁력 강화와 데이터 주권 확보를 위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지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AI 국가대표'를 선발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히 AI 기술 개발에 그치지 않고, AI 모델의 안전성, 신뢰성, 투명성을 확보하여 국민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소버린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선정 기업별 주요 특징
- 네이버: 한국어 데이터 기반의 강력한 언어 모델 개발 역량 보유, 다양한 서비스 연계 가능성
- LG: AI 반도체 기술과 연계한 AI 모델 개발, 스마트홈,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 적용 기대
- SK텔레콤: 통신 데이터 기반의 AI 모델 개발, 5G, 6G 등 차세대 통신 기술과 융합 가능성
- NC: 게임 데이터 기반의 AI 모델 개발,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의 활용 기대
- 업스테이지: 오픈소스 기반의 AI 모델 개발, AI 기술의 접근성 향상 및 생태계 확장 기여
향후 지원 계획 및 기대 효과
과기정통부는 선정된 5개 기업에게 향후 3년간 총 816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AI 국가대표'의 성공적인 모델 개발은 국내 AI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산업 분야의 혁신을 이끌어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데이터 주권 확보를 통해 글로벌 AI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대한민국의 AI 미래를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AI 국가대표' 선정은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